다양한 통계 자료를 제공하여 자살 예방을 위한
폭넓은 이해를 돕습니다.
국민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 질병관리청
- 매년 조사(2007년~현재)
- 소아(1~11세), 청소년(12~18세), 성인(19세 이상)
[표 1] (성인) 성별에 따른 연령대별 자살 생각 경험(단위: %)
전체 | 19~29세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이상 | |
---|---|---|---|---|---|---|---|
남자 | 3.4 | 3.3 | 3.4 | 2.8 | 2.9 | 4.1 | 4.5 |
여자 | 5.1 | 8.6 | 6.9 | 4.0 | 2.8 | 4.1 | 5.2 |
계 | 4.3 | 5.8 | 5.1 | 3.4 | 2.8 | 4.1 | 4.9 |
[표 2] (성인) 성별에 따른 연령대별 자살계획률 (단위: %)
전체 | 19~29세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이상 | |
---|---|---|---|---|---|---|---|
남자 | 1.1 | 1.1 | 0.3 | 1.3 | 1.3 | 1.3 | 1.6 |
여자 | 1.4 | 2.7 | 2.1 | 0.6 | 0.8 | 0.8 | 1.8 |
계 | 1.3 | 1.9 | 1.2 | 1.0 | 1.1 | 1.0 | 1.7 |
국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사회적 관심사와 주관적 의식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여 삶의 수준과 사회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 통계청
- 매년 조사(1990년~현재), 각 부문별 2년 주기
- (목표) 1,548개 조사구 18,576 가구 내 36,206명
- (응답) 1,548개 조사구 18,445 가구 내 35,792명
[표 1] 자살생각 경험 여부(단위: %)
자살생각 경험 있다 | 자살생각 경험 없다 | 계 | |
---|---|---|---|
2020년 | 5.2 | 94.8 | 100.0 |
2022년 | 5.7 | 94.3 | 100.0 |
[표 2] 자살생각 이유(단위: %)
경제적어려움 | 가정불화 | 외로움, 고독 | 질환, 우울감, 장애 | 직장문제 | 성적, 진학문제 | 연애문제* | 친구불화 | 기타 | 계 | |
---|---|---|---|---|---|---|---|---|---|---|
2020년 |
38.2 |
11.9 | 13.4 | 19.0 | 8.7 | 2.3 | 3.1 | 1.7 | 1.7 | 100.0 |
2022년 | 27.6 | 2.9 | 8.0 | 35.4 | 11.1 | 2.3 | 3.2 | 0.8 | 2.6 | 100.0 |
* 2020년부터 '이성문제' → '연애 상대와의 관계'로 명칭 변경
- DB출처 https://mdis.kostat.go.kr/extract/extYearsSurvSearchNew.do?curMenuNo=UI_POR_P9012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손상 등 15개 영역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 질병관리청
- 매년 조사(2005년~현재)
- 최신자료(2022년 18차, 2023.05.)
- 전국 중학교 1학년 ~ 고등학교 3학년
흡연(19), 음주(6), 신체활동(5), 식생활(7), 비만 및 체중조절(4), 정신건강(13), 손상 및 안전의식(3), 구강건강(4), 개인위생(2), 성행태(4), 아토피·천식(8), 약물(2), 인터넷중독(3), 건강형평성(21), 폭력(1), 기타(1) 총 103개 문항
[표 1] 청소년 성별 자살생각 경험 유무(단위: %)
자살생각 경험 있다 | 자살생각 경험 없다 | 계 | |
---|---|---|---|
남성 | 10.9 | 89.1 | 100.0 |
여성 | 17.9 | 82.1 | 100.0 |
전체 | 14.3 | 85.7 | 100.0 |
- DB출처 http://www.kdca.go.kr/yhs/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인권실태 및 변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인권보장 및 인권향상, 환경 개선을 위한 아동·청소년 인권정책 수립을 위한 조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매년 주기(2009년~현재)
- 최신자료(2023년, 2023. 12. 31.)
-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 재학 중인 청소년
※ 고등학교 일반계고, 특성화계고로 구분
인권일반 및 일반원칙(8), 시민적 권리와 자유(16), 폭력 및 학대(6), 가정환경 및 대안양육(3), 장애·기초 보건 및 복지(14), 교육·여가 및 문화적 활동(7), 특별보호조치(1) 총 55개 문항
[표 1] 청소년 성별 자살생각 경험 여부(단위: %)
생각해 본 적이 없다 | 가끔 생각한다 | 자주 생각한다 | 계 | |
---|---|---|---|---|
남자 | 76.7 | 20.2 | 3.1 | 100.0 |
여자 | 60.5 | 33.2 | 6.3 | 100.0 |
계 | 68.8 | 26.5 | 4.7 | 100.0 |
[표 2] 청소년 성별 자살생각 이유(단위: %)
학업문제 (학업부담, 성적등) |
가족간의 갈등 | 선후배나 또래와의 갈등(학교폭력 등) | 경제적인 어려움 | 미래(진로)에 대한 불안 | 기타 | 계 | |
---|---|---|---|---|---|---|---|
남자 | 46.0 | 17.6 | 4.7 | 0.9 | 19.0 | 11.8 | 100.0 |
여자 | 40.7 | 18.1 | 7.6 | 0.9 | 20.3 | 12.3 | 100.0 |
계 | 42.7 | 17.9 | 6.5 | 0.9 | 19.8 | 12.1 | 100.0 |
- DB출처 https://www.nypi.re.kr/archive/mps/program/examinDataCode
노인실태조사는 한국 노인의 다각적인 생활 현황과 욕구를 파악하고 노인특성의 변화추이를 예측하기 위한 조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3년 주기(2008년~현재)
- 최신 자료(2020년 5차. 2021.07.16)
- 65세 이상 10,097명(대리응답 167명 포함)
가구 일반사항, 건강상태와 건강행태, 기능 상태와 간병 돌봄, 여가 활동과 사회 활동, 경제 활동, 가족 및 사회관계, 가족간 도움의 교환, 생활환경과 노후생활, 인지기능, 경제상태, 주거환경 등.
[표 1] 60세 이후 자살을 생각해본 경험(단위: %)
생각해 본 적 없다 | 생각해 본 적 있다 | 계 | |
---|---|---|---|
백분율 | 97.9 | 2.1 | 100.0 |
[표 2] 자살을 생각하는 주된 이유(단위: %)
건강 | 경제적 어려움 | 외로움 | 사망 (배우자, 가족, 친구) | 부부자녀 친구갈등 및 단절 | 배우자 가족건강 | 기타 | 계 | |
---|---|---|---|---|---|---|---|---|
백분율 | 23.7 | 23.0 | 18.4 | 13.8 | 13.1 | 7.6 | 0.4 | 100.0 |
- DB출처 https://data.kihasa.re.kr/researchdb/target/view?seq=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