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가승인통계

통계작성기관에서 제공하는 지정통계(*통계법 제15조, 제17조)를 통해,
대표성 있는 자살 관련 조사 현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자살실태조사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11조

2023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다운로드 2023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통계

자살실태조사는 자살예방을 위한 서비스 욕구와 수요를 파악하고 근거기반 자살예방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5년마다 실시되는 조사입니다. 이 통계는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와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통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조사결과는 2023년 자살실태조사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보고서 및 ‘2023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통계’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8년, 2023년 평생 자살생각 경험률 [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 Base: 전체 응답자 2018년 1,500명 / 2023년 2,807명

[단위 : %]

구분 2018 2023
평생 자살생각 경험률 18.5 14.7

※ 평생 자살생각 경험률 : 지금까지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사람의 분율

2023년 자살생각의 주된 이유(중복응답)[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 Base: 평생 자살생각 유경험자 413명(복수응답)

[단위 : %]

가정생활의 어려움 경제적인 어려움 금융투자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 연인관계의 어려움 사별의 어려움 신체적 질병의 어려움 정신 질환으로 인한 어려움
42.2 44.8 8.0 10.3 3.9 16.1 8.5
직장 또는 업무상 어려움 학대 또는 폭력으로 인한 어려움 알코올 등 중독의 어려움 성적, 시험, 진로의 어려움 외로움, 고독 등의 정서적 어려움 주변인 자살로 인한 정신적 고통 기타
15.6 3.1 1.0 12.5 19.2 3.6 1.1

2023년 자살생각 시 도움 요청 경험(중복응답)[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단위 : %]

아무에게도 이야기하지 않음 친구/이웃 가족/친척 배우자/연인 의료전문가
58.9 28.1 12.2 9.1 5.5
심리 및 상담 전문가 직장상사/동료 종교 관계자 공공 및 민간기관의 상담창구 인터넷 사이트
3.1 2.6 1.0 0.8 0.1

2018년, 2023년 자살사건 보도가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 Base: 전체 응답자 2018년 1,500명 / 2023년 2,807명

[단위 : %]

구분 영향 있음 영향 없음 모르겠음
2018 65.1 31.1 3.9 100.0
2023 52.0 40.8 7.2 100.0

2018년, 2023년 미디어(보도 제외)의 자살 관련 표현이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 Base: 전체 응답자 2018년 1,500명 / 2023년 2,807명

[단위 : %]

구분 영향 있음 영향 없음 모르겠음
2018 72.2 24.0 3.8 100.0
2023 55.5 37.5 7.0 100.0

2023년 자살 관련 보도 및 미디어 표현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중복응답)[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 Base: 자살생각 미경험자 2,394명 / 자살생각 유경험자 413명(복수응답)

[단위 : %]

구분 기분이 우울해졌다 자살 방법이나 동기 등 구체적인 내용의 보도는 보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 자살 동기를 찾아내기 위해 유족이나 지인 등을 끈질기게 취재하는 것이 불쾌하게 느껴졌다 자살생각이 들 때 도움을 요청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자살이 익숙한 문제라고 느꼈다
전체 34.3 23.1 18.1 17.1 19.1
자살생각 미경험자 32.8 22.3 17.3 16.4 18.3
자살생각 유경험자 43.3 27.6 22.5 21.1 23.3
구분 자살 보도로 자살하는 사람이 늘어나지 않을까 하고 불안하게 느꼈다 나도 ‘죽고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살 방법이나 동기 등을 더 알고 싶었다 자살이 사회적인 문제라고 느꼈다 기타 특별히 아무것도 느끼지 않았다
전체 25.4 3.6 6.5 50.7 0.3 15.3
자살생각 미경험자 24.5 3.3 6.4 50.6 0.2 17.0
자살생각 유경험자 30.5 4.8 7.2 51.4 0.5 5.7

2023년 자살예방정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중복응답)[출처 : 보건복지부, 자살실태조사]

※ Base: 전체 응답자 2,807명, 자살생각유경험자 413명(복수응답)

[단위 : %]

구분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
전체 자살생각 유경험자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서비스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강화한다 84.0 85.7
자살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자주 이용되는 방법을 통제한다 75.3 75.0
자살 고위험군을 만날 가능성이 높은 직업인들(의사, 간호사, 경찰, 소방관, 교사 등)을 대상으로 대처방법을 교육한다 82.0 79.8
자살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과 홍보를 확대한다 84.7 83.6
자살예방 업무를 하는 기관과 그곳에서 일하는 종사자들의 수를 더 확대한다 76.0 78.9
자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여 자살 예방 대책 마련에 활용하도록 한다(국가자살동향감시체계) 81.4 77.6
지역이나 연령, 취약계층 등 각 상황에 적절한 맞춤형 정책을 만들어 적용한다 80.9 82.9
자살/자해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81.5 85.5
유명인 자살의 부정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수행한다(사전 정신건강 관리, 사후 언론보도 관리 등) 81.5 80.6
자살사건에 대한 무분별한 보도를 사전에 예방한다(자살 보도 권고기준) 80.5 79.9
자살 유족들에 대한 지원대책(예: 상담, 경제적 지원, 심리부검 등)을 강화한다 80.8 86.2
자살예방을 위한 조사와 연구를 확대한다(자살실태조사, 위험요인 분석, 정책대안 수립 등) 82.6 84.2

이용안내

용어설명

이용자
매뉴얼

자주 찾는 메뉴